복지뉴스

[스크랩]복지로 고령화 그늘 ‘치매’, 국가가 적극 나서야

협의회 0 2,911 2014.01.14 09:28
치매는 고령화 시대 사회적 질병으로 자리잡았다.
노년 삶의 질을 논할 때 피할 수 없는 키워드다.

얼마 전 한 포털사이트가 50대 이상 회원들을 대상으로 노후에 가장 걱정되는 질병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59.7%가 그것을 꼽았다. 노인 사망 원인 1, 2위를 다투는 암과 뇌졸중보다도 압도적이다. 환자 자신은 물론이고 가족의 고통도 엄청나기 때문일 것이다. '긴 병에 효자 없다'는 말이 따라 붙는다.

우리나라 치매유병률은 노인 인구의 10%에 육박하는 57만명을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65세 이상 열 명 중 한 명꼴로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그 수가 2020년에는 80만명, 2025년에는 100만명을 넘어설 것이란 예측도 있다.

치매 급증세는 제주지역도 마찬가지다. 도 당국에 따르면 2011년 2837명에서 2012년 3835명, 그리고 2013년 9월 현재 4449명으로 매년 큰 폭으로 늘고 있다. 이는 등록환자 기준이다. 주변의 시선을 의식해 질환을 숨기는 사례를 포함하면 치매 환자는 휠씬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이렇게 치매 심각성이 크고 사회적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지만, 사회 안전망인 '제도'는 여전히 허술하다는 점이다. 물론 2008년 7월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가 실시되면서 치매환자의 간병과 수발 등이 지원되고 있다. 치매관리센터의 활성화도 점차 이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재가 서비스를 받을 경우 매달 본인이나 가족이 부담하는 금액이 12만~18만원 수준이고, 시설에 입소하게 되면 60~70만원이 된다.

일단 걸리면 회복이 어려운 치매의 특성을 고려하면 가족이 짊어져야 할 경제적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그마저도 보호시설이 크게 부족한 실정이다. 제주지역의 경우, 노인장기요양기관에서 수용할 수 있는 환자 수는 3297명으로, 전체 등록환자의 74%에 그치고 있다.

치매는 고령화의 어두운 그림자다. 그렇지 않아도 서글픈 노인의 삶이 치매로 철저히 파괴되고 있는 현실은 안타깝다. 환자 가족들 또한 정상적인 삶을 영위하기가 어렵다.

국가가 적극 나서 서비스 대상을 대폭 확대하고 그 부담을 덜어주는 게 일차적 과제다.



저작권자ⓒ제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본 기사는 디지털뉴스 저작권신탁관리기관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이 정하는 기준과 방법에 따라 이용해야 합니다.

Comments